토토사이트추천 부여 군수리 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백제시대의 보살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扶餘 軍守里 金銅菩薩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토사이트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백제시대의 보살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936년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토토사이트추천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출토되었다.

내용

머리에는 삼산형(三山形)의 보관을 썼고, 얼굴 좌우로 두꺼운 머리카락이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얼굴은 약간 넓적한 편이지만 볼을 팽팽하게 처리하여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다. 눈은 아래를 향하여 반쯤 뜨고 있고 입술의 끝단을 살짝 올려 환하게 미소 짓는 모습이다.

오른손은 위로 들어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하고 있으나 손가락 2개를 구부렸으며, 왼손은 가슴 앞까지 들어 손등을 앞으로 한 채 엄지와 검지로써 지물(持物)을 잡은 듯한 모습이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지 않았고, 가슴에는 V자형 장식이 첨가되었다. 배 앞토토사이트추천 X자형으로 교차된 천의(天衣)는 어깨토토사이트추천 다시 좌우대칭으로 길게 늘어져 지느러미같이 묘사되었는데, 그 끝단을 날카롭게 처리하였다. 천의 안으로 U자형 주름이 발목까지 흘러내리고 발목 사이로는 또 하나의 옷주름이 보이고 있다.

이 보살상은 양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점이 특이하고, 측면토토사이트추천 보면 배를 앞으로 내밀어 양발을 당긴 듯한 모습이다. 또한 두 발은 가지런히 모은 것이 아니라 한 쪽 발을 틀어 변화를 주었다. 발 아래로는 잎이 넓은 연화좌가 표현되었는데, 이 연화좌는 원오리 출토(元吾里出土) 소조보살상과 거의 동일한 모습이다.

특징

옷주름이 두꺼우면서도 부분적으로 신체의 굴곡이 표현된 점과, 얼굴의 부드럽고 생동감 있는 처리는 고구려의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국보, 1964년 지정)이나 원오리 소조상보다 훨씬 진전된 형식을 보여준다.

넓은 얼굴의 풍만한 미소는 같은 사지토토사이트추천 출토된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토토사이트추천도 볼 수 있다. 이 풍만한 미소는 이후의 백제 불상토토사이트추천 즐겨 표현된다. 6세기 중엽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삼국시대 보살상 중 그 출토지가 분명하고 조각 기술이 돋보이는 귀중한 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불교조각론』(강우방, 국립중앙박물관, 1990)
『토토사이트추천불상삼백선』(황수영 외, 토토사이트추천정신문화연구원, 1982)
『토토사이트추천의 미』10 불상(황수영 감수, 중앙일보사, 1980)
『토토사이트추천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토토사이트추천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토토사이트추천미술』(김재원 외, 탐구당,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토사이트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토토사이트추천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토토사이트추천]'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