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응삼(應三), 호는 관어재(觀魚齋) 혹은 퇴장암(退藏菴). 아버지는 김상침(金尙琛)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 윤효일(尹孝一)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영민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 경학을 통달하는 한편 병서(兵書)나 좌전(左傳)을 좋아하였다.
1728년에 이인좌(李鱗佐)의 난이 일어나자 안음(安陰)에서는 정희량(鄭希亮)이 호응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 그 부근 여러 성을 함락하자, 거창현감(居昌縣監) 신정모(申正模)는 도주하였다. 이에 김중원은 가동(家僮)이나 이정(里丁)을 100여 명을 모으고, 그의 종재 김중익(金重益)은 군량을 도와 백의(白衣)로 거의(擧義)하였다.
곤양(昆陽) 군수 우하형(禹夏亨)에게 가 영장(營將) 이석복(李碩復), 남해현령(南海縣令) 윤하(尹㵑)를 도와 난을 평정하였는데, 적을 토벌할 계획이나 격문(檄文) 등이 모두 그의 손에서 이루어졌다.
이 후 양무(揚武) 1등공신에 녹훈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즉시 고향으로 돌아와 퇴장암이라는 정자를 짖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정창시(鄭昌始)·임응익(林應益) 등이 있다. 저서로는 『퇴장암유집(退藏菴遺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