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 머니 카지노 3 만 바루

봉원사 바루
봉원사 바루
불교
물품
불교의 승려들이 사용하는 식기(食器).
이칭
이칭
발(鉢), 발우(鉢盂), 응기(應器), 응량기(應量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 승려들이 사용하는 식기(食器).
내용

비구(比丘)6물(物) 또는 18물의 하나로서, 발(鉢)이라고도 하며, 발우(鉢盂)라고도 쓴다. 이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의범어(pātra)를 음사한 발다라(鉢多羅)의 약칭으로, 번역하면 응기(應器) 또는 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즉, 부처님과 그 제자가 지니는 식기로서, 색과 재질에 대꽁 머니 카지노 3 만는 여러 가지로 언급되고 있다.

『사분율(四分律)』에서는 6종의 발우를 열거하였으나 대체로 철발(鐵鉢:쇠그릇)과 이발(泥鉢:토기)로 나누어진다. 그 밖에 목발(木鉢)이 우리나라에서도 한때 크게 유행하였으나 이를 외도(外道:다른 종교)의 기물이라 꽁 머니 카지노 3 만 금지하기도 하였다. 또, 『십송률(十誦律)』 제56권에서는 금발(金鉢) · 은발(銀鉢) · 유리발(琉璃鉢) · 마니발(摩尼鉢) · 동발(銅鉢) · 백랍발(白鑞鉢) · 목발(木鉢) · 석발(石鉢) 등 8종의 바루를 열거하고 있다.

비구들은 대체로 철발 또는 와발(瓦鉢:泥鉢 또는 土鉢을 말함)을 쓰고, 부처님은 홀로 석발을 사용한다고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조선시대에 성행하였던 목발은 바루의 표면에 옻칠을 꽁 머니 카지노 3 만 사용하였으나 본래의 법식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바루의 색은 공작새의 색깔, 가릉빈가의 색깔, 비둘기의 색깔 등 3색을 불에 쪼여낸다고 하였으나(摩訶僧祗律 第29) 매우 추상적인 색깔이다. 다만 철발은 불에 다섯 번 쬐어 색깔을 내고 토발은 두 번 쬐어 색깔을 낸다고 하였다.

또, 바루 외에 3개의 식기가 더 있는데, 밥을 받는 것만이 '어시발우'라는 바루이고, 나머지는 '분자'라고 꽁 머니 카지노 3 만 국, 반찬, 물을 받는 용도에 따라 ‘1분자’, ‘2분자’, '3분자'라고 한다. 부처님은사천왕(四天王)으로부터 네 개의 바루를 받았을 때 이를 합꽁 머니 카지노 3 만 하나로 만들었다고 꽁 머니 카지노 3 만 밥을 받는 가장 큰 식기만이 '바루'라고 불리며 다른 3개는 '분자'로 불린다. 현재 인도나 남방불교계통에서는 걸식할 때 하나의 바루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네 개를 합꽁 머니 카지노 3 만 보관하였다가 바루공양 때에는 펼쳐 놓고 쓰게 된다.

또, 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가지고공양(밥)을 받는 것을탁발(托鉢)이라 꽁 머니 카지노 3 만 출가자의 중요한 수행으로 삼는다. 국내에 현존하는 바루 가운데 와발은 흔하지 않고, 철발의 경우는 고려시대의 제품이 있어 주목된다. 이는 두드려서 만든 얇은 오동(烏銅:검은 구리) 제품이 대부분이며, 고대의 것으로는 바루형 토기제품이 있으나 실제로 이것이 바루로서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참고문헌

『잡아함경제이(雜阿含經第二)』
관련 꽁 머니 카지노 3 만 (1)
집필자
장충식(동국대학교, 미술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꽁 머니 카지노 3 만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꽁 머니 카지노 3 만야 합니다.
    • 단, 꽁 머니 카지노 3 만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