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권강탈 후 일제는 보통학교의 교과서를 위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을 1912년 4월에 공표토토 롤링 디시 시행하였는데, 개정논의가 일어나서 1921년 3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로 개정토토 롤링 디시 공표하였다.
개정된 맞춤법도 10년 가까이 시행되는 동안에 교육계와 사회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학무국에서 다시 재정의 기초안을 만들어서 전문가로 구성된 제1차조사회(1928.9.∼1929.1.)와 제2차조사회(1929.5.∼7.)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 것이 <언문철자법>이다.
개정된 내용은, 첫째 분철표기의 확대로 받침의 수효가 종래의 10개에 11개가 더토토 롤링 디시지고, 둘째 된소리의 표기는 된시옷을 버리고 ‘써, 까, 쯤’과 같이 각자병서(各自並書)로써 하며, 셋째 한자음의 표기도 국어와 마찬가지로 현실발음에 따르도록 한 점이다. 결과적으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내용과 매우 비슷하게 되었는데, 예컨대 받침으로 ㅋ, ㅎ이 안 쓰인 점만 다르나 그 밖의 모든 자음이 쓰이는 사실은 똑같다.
맞춤법의 명칭에 ‘보통학교용’이라는 관형어를 뗀 것은, 이 맞춤법이 개정의 이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사회에서 행해지는 맞춤법의 통일에 기여하려는 뜻에 말미암은 바로서, <한글맞춤법통일안>과 비슷한 성격을 지니는 사실이다. 이는 장지영(張志暎)·권덕규(權悳奎)·정열모(鄭烈模)·최현배(崔鉉培)·신명균(申明均) 등 한글학회, 곧 당시의 조선어학회의 중심학자가 제2차조사회에 참여토토 롤링 디시 적극적으로 활약하였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 맞춤법은 학무국의 제3회철자법, 또는 철자법의 제2회개정으로서, 1930년부터 순차적으로 교과서에 채택되었다.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한글맞춤법통일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