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사이트 이구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지밀직사사, 도순찰사, 찬성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66년(공민왕 15)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밀직부사|전라도진변사(全羅道鎭邊使)|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도순찰사|찬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지밀직사사, 도순찰사, 찬성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62년(공민왕 11) 1월 홍건적이 개경을 함락하였을 때에 총병관(摠兵官) 정세운(鄭世雲)의 휘하장군으로서, 안우(安祐)·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 등의 여러 장수들과 함께 적을 무찌르고 서울을 탈환하는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무공을 세웠다.

이 해 4월 밀직부사로 전라도진변사(全羅道鎭邊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였다. 1363년 3월에는 홍건적의 침입 때 병사들을 소집해 왕을 보좌한[僉兵輔佐] 공으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 1등공신이 되었고, 윤3월에 서울을 수복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었다.

이 해에 역신 최유(崔濡) 일파가 덕흥군(德興君)을 받들고 고려에 들어오리라는 정보 때문에 도순찰사가 되어 인주(麟州: 지금의 의주)에 주둔, 1364년 압록강에서 최영·이성계 등과 함께 1만의 최유 군대를 격파하고 개선무료 슬롯 사이트 찬성사에 올랐다.

그 뒤 벼슬을 버리고 서원(瑞原)의 고령사(高領寺)에 들어가 중이 되려 하였으나 왕의 만류로 복직하였다. 1365년 4월 왜구가 강화도 교동을 노략질하고 동강과 서강에까지 침입하자 찬성사로 군대를 지위무료 슬롯 사이트 왜구를 무찔렀다.

그러나 같은 해 5월 신돈(辛旽)이 집권하면서 구가세족(舊家世族)으로 지목되어 양백익(梁伯益)·박춘(朴椿) 등과 함께 제1차로 숙청되어 회원(會原)에 유배되었고, 1366년(공민왕 15) 신돈에 의해 머리를 깎이고 송광사에 유폐되었다가 이듬해 신돈이 보낸 자객에 의무료 슬롯 사이트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손홍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무료 슬롯 사이트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무료 슬롯 사이트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