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일득록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경연 등 제반 행사에서 대신 · 각료 · 유생들과 나눈 대화와 전교를 수록한 강론집.
• 본 항목의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경연 등 제반 행사에서 대신 · 각료 · 유생들과 나눈 대화와 전교를 수록한 강론집.
내용

18권. 활자본.

1814년(순조 14)에 간행된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 弘齋全書≫ 권161∼178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직제학 정지검(鄭志儉)이 국왕의 언행을 기주(記注)의 법에 따라 기록해 후일 반성의 자료로 삼자고 건의함으로써 편록되었다.

당시 사신(史臣)의 구실도 겸했던 규장각 각료들이 1785년(정조 9)경부터 기록하였다. 그 체재는 문학 5권, 정사 5권, 인물 3권, 훈어(訓語) 5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편은 대체로 시대순으로 배열했으며, 경연 등 제반행사에서 대신·각료·유생들과 나눈 대화와 전교(傳敎)들이 수록되어 있다.

<문학편>에는 고문(古文)을 본받아 학문의 도를 익혀야 한다는 정조의 문장론과 시론(詩論)이 조선·중국 고금의 문필가들에 슬롯 꽁 머니 논평과 함께 실려 있다. 또, 13경, 4서, 23사(史)에 슬롯 꽁 머니 검토와 함께 양명학·불교·도교·서학(西學) 같은 이단적 학문도 풍속 교화에 다소 공로가 있다고 하여 넓게 검토하였다.

송사(宋史)에 슬롯 꽁 머니 깊은 연구와 송사전(宋史筌)의 편집, 주자(朱子)·송시열(宋時烈)의 문집·어록 검토, 이기논쟁(理氣論爭)과 호락논쟁(湖洛論爭), 중화문화 수준에 도달한 발해 역사, 정도전(鄭道傳)·허목(許穆)·황경원(黃景源) 등 고문을 탐구한 학자들에 슬롯 꽁 머니 호평이 특징적이다.

<정사편>에서는 당론 비판과 탕평책, 국조오례의와 삼강오륜·관료제·옥안(獄案)·향약(鄕約)에 의한 교화 등 국가 체제에 관한 문제와 군사제도·과거제도·수취제도(收取制度) 등 국가 운영의 문제들이 조선·중국에서의 변천 과정과 함께 검토되었다.

보합(保合) 위주의 탕평에 슬롯 꽁 머니 비판, 산림 인물의 수준과 구실에 슬롯 꽁 머니 비판, 인민애물(仁民愛物)에 어긋나는 당론 분열에 슬롯 꽁 머니 비판, 5군영제의 비판, 의정부 권한 강화와 외척의 정치 간여 배제들이 특징적 내용이다.

<인물편>은 군자·소인론, 태조에서 당대까지의 문신·무신·사림과 그들의 문집·업적에 슬롯 꽁 머니 평가, 중국 고금의 인물에 슬롯 꽁 머니 평가가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특히 양성지(梁誠之)·조광조(趙光祖)·송시열·박문수(朴文秀)·유형원(柳馨遠) 등에 슬롯 꽁 머니 호평이 특징적이다.

<훈어편>은 임금의 직책과 사대부의 의리·기질에 슬롯 꽁 머니 반성과 질책, 문풍(文風)의 혁신들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심신의 수련법과 다방(茶方)도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정조가 표방한 우문정치(右文政治)·탕평책의 성격과 학문적 기반을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자료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정조(正祖)의 학예사상」(정옥자, 『슬롯 꽁 머니학보』 11, 일지사, 1978)
「조선후기한문학사조사연구(朝鮮後期漢文學思潮史硏究)」(정옥자, 『슬롯 꽁 머니사학』 5, 슬롯 꽁 머니정신문화연구원, 1983)
관련 미디어 (4)
• 항목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슬롯 꽁 머니,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슬롯 꽁 머니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꽁 머니]'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