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처럼 바로 눈앞에 동해바다가 펼쳐지는 소나무가 울창한 곳에 바람소리를 연상할 수 있다. 조선 말기에는 때로 송정(松亭)·녹정(彔亭)·두정(荳亭)·녹두정(綠荳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 정자가 언제 세워졌는지, 또 언제 없어지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정자와 인접한 곳에 꽁 머니 카지노 3 만사(寒松寺)가 자리하고 있는데, 조선 후기 지도들은 이곳을 꽁 머니 카지노 3 만사 때로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으로 표기하고 있어 혼동할 여지가 없지 않으나 정자와 사찰의 개체는 분명 다른 것이다.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이 있던 자리 곁에 차우물[茶泉 또는 茶井]·돌아궁이[石竈]·돌절구[石臼] 등이 있었는데 이를 화랑의 다도유적(茶道遺蹟)이라 하였고, 또 이 유적지를 가리켜 술랑선인(述郎仙人), 즉 화랑도들이 노닐던 곳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을 두고 읊은 고려 고종 때 장진산(張晉山)의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곡 寒松亭曲〉이 《악부 樂府》에 전하고 있는 것을 비롯하여 안축(安軸)·이인로(李仁老)·김극기(金克己)·권한공(權漢功)·이무방(李茂芳)·유계문(柳季聞) 등의 시를 소개하고 있다.
조선시대 지리지(地理志)들은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이 관동팔경(關東八景)에 들지는 못하지만, 관동팔경의 하나인 경포대(鏡浦臺)와 함께 강릉을 대표하는 명구(名區)로 이 정자를 꼽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을 상고해 보면,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이 생겨난 시원을 신라의 화랑도가 생성되는 시기(진흥왕 37년, 576)인 6세기 후반으로 본다면, 그 생성 상한을 짐작할 수 있으며, 또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하던 시기(조선 초기)에는 폐허가 되어 있음을 상상하게 해 준다.
그러나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은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고지도(古地圖)와 강릉지역 고로(古老)들의 문집(文集) 등을 살펴보면 19세기 말까지도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과거의 지리지를 비롯한 기록들이 술랑(述郎)과 4선인(四仙人 : 永郎·述郎·南郎·安祥) 등 화랑도들이 노닐었던 곳으로 설명한 것은 명승지에 대한 부회(附會)라고 할 것이지만, 오늘날은 물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동해안을 지키는 작은 군사기지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화랑도가 노닐던 곳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의 유물로 전해지는 차샘·돌아궁이·돌절구 등은 지금까지도 잘 보존되어 있으며, 돌샘에서는 맑은 물이 솟고 있다.
돌절구에는 강릉부사 윤종의(尹宗儀)가 가장자리에 ‘新羅仙人永郎鍊丹石臼(신라선인영랑연단석구)’ 라는 글귀를 새겨 놓았는데 돌절구라는 이 석구는 형태나 형식으로 보아 절구가 아니라 비석을 꽂아 세우기 위한 밑받침돌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