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1년(희종 7) 장군으로서 무신집권자 최충헌(崔忠獻)의 명에 따라 폐위된 희종을 강화도 교동현(喬桐縣)으로 옮겼다. 희종이 유배당한 것은 내시낭중(內侍郎中) 왕준명(王濬明) 등으로 토토 바카라 사이트금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였기 때문이었다. 이광유는 교동현에서 돌아와 최충헌에게 “전왕(前王)이 대단히 놀라서 어쩔 줄 몰라 했으며, 또 공급하는 물품도 부족해 단지 쌀 6석(石)만 남아 있다”고 보고하였다. 희종이 처한 딱한 현실을 목도하고서 처우개선을 주장하였으나 최충헌의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216년(고종 3) 몽골군에게 쫓긴 거란유종(契丹遺種: 僞遼國人)이 대거 압록강을 넘어 침입해오자 조정에서는 적을 격퇴시키기 위해 3군(三軍)을 편제토토 바카라 사이트 북계(北界)로 나아가게 했다. 이때 장군 이광유는 연주(延州: 지금의 평안북도 영변)의 사자암(獅子岩)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