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黑口)는 고서(古書)의 판심(版心)을 ‘상 · 중 · 하’의 3단(段)으로 구분할 경우, 그 중단(中段) 어미(魚尾) 부분의 아래위[上下]부터 중봉(中縫) 부분에서 인쇄 면의 상하 양쪽 끝까지 검은 묵선(墨線)이 그어진 것이다.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에는 특별한 기준은 없으나, 육안으로 보아 검은 선이 아주 굵은 것은 ‘대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大黑口)’라 하고, 가늘고 세밀한 것은 ‘소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小黑口)’ 또는 ‘세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細黑口)’라고 한다.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黑口)는판심(版心)의 아래위로어미(魚尾)부터 인쇄 면의 양쪽 끝까지 중봉(中縫) 부분에 그어져 있는 검은 묵선(墨線)이다. 판심의 위아래 어미(魚尾)와 광곽(匡郭)의 위아래 변(邊)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위의 것을 ‘상상비(上象鼻)’, 아래의 것을 ‘하상비(下象鼻)’라 부르며, 그 상하상비(上下象鼻)의 중봉 위치에 검은 선이 있는 것은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 없는 것은 백구(白口)라 한다. 판심은 대체로 그 세로 부분을 3단(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단(中段) 부분의 두 어미[上下 魚尾]를 기준으로 하였다. 즉, 고서(古書)에 있어 판심은 위와 같은 공백 부분의 중간 부분에는 상하의 어미를 배치하고, 다시 어미 부분의 아래 부분[下部]과 윗 부분[上部]에는 각각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를 만듦으로써, 책의 인쇄면 중앙의 판심 부분을 장식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의주1에서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에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와 한 쌍이 되어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조선시대중종(中宗)이후,선조(宣祖)년간의간인본(刊印本)에서는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와 짝을 이루어 나타나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도 특정 시대에 간행된 책의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의 요소로 볼 수 있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전적에는번각본(飜刻本)이 많아서 특히 그러하다. 다른 여러 형태적 특징을 아울러 고려하여 판단을 내려야 한다.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의 형태 구분에는 특별한 기준은 없으나, 육안으로 보아 검은 선이 아주 굵은 것은 ‘대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大黑口)’ 또는 ‘관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寬黑口)’ 및 ‘조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粗黑口)’라 칭하고, 가늘고 세밀한 것은 ‘소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小黑口)’ 또는 ‘세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細黑口)’ 및 ‘선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線黑口)’라고 지칭한다.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의 문제는 판심 및 어미 사항 등과 함께 조명되어야 하고, 아울러 우리나라 고서 판식(板式)의 전체 형태 사항 속에서 고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