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강학청일기 ()

문헌
조선시대 강학청에서 왕실 원자에게 행한 강학 내용과 문답을 기록한 일지.
• 본 항목의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강학청에서 왕실 원자에게 행한 강학 내용과 문답을 기록한 일지.
서지적 사항

전 7책. 필사본.

내용

1665년(현종 6) 6월부터 12월까지 1책 39장, 1796년(정조 20)부터 1800년까지 4책, 1876년(고종 13)부터 1879년까지 2책 등슬롯 꽁 머니 구성되어 있다.

현종 때의 ≪슬롯 꽁 머니청일기≫는 숙종이 아직 동궁으로 책봉되지 않고, 원자로 있을 때의 슬롯 꽁 머니내용을 적은 것이다. 앞부분에는 좌참찬 송준길(宋浚吉)이 슬롯 꽁 머니청 설치의 필요성을 논한 차자(箚子:간단한 서식의 상소문)가 실려 있다. 어린 원자로 하여금 왕도를 익히게 하고, 종사의 안정을 꾀하고자 함을 설치 명분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보양관(輔養官)으로 송시열(宋時烈)·송준길·김수항(金壽恒)·김좌명(金佐明) 등 4인이 임명되고, 태종·중종·인조 때의 예를 뽑아 슬롯 꽁 머니청을 설치하는 제반 절목을 작성하였다. 예조에서는 원자와 보양관이 상견할 때의 의례, 슬롯 꽁 머니시 배종(陪從), 슬롯 꽁 머니청의 병역 차정(差定) 및 경비 지급 등을 입안하였다.

슬롯 꽁 머니 책으로는 ≪효경대의 孝經大義≫를 정하였다. 그리고 10월 24일에는 보양관으로 박장원(朴長遠)·조복양(趙復陽) 등을 새로 임명하고, 이유태(李惟泰)를 슬롯 꽁 머니관으로, 윤선거(尹宣擧)를 요속(僚屬 : 계급이 아래인 동료)으로 정한 사실을 수록하였다. 그 밖에 담당 보양관의 슬롯 꽁 머니내용과 원자와의 문답 등이 날짜순으로 기재되었다.

정조대의 ≪슬롯 꽁 머니청일기≫는 원자의 나이 7세 때인 1796년 12월부터 기록되고 있다. 첫 부분에는 당시의 시·원임 대신이 참석한 가운데 영의정 홍낙성(洪樂性), 좌의정 채제공(蔡濟恭) 등이 원자의 책봉과 슬롯 꽁 머니청의 설치문제를 주청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슬롯 꽁 머니의 시기, 수준 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사부(師傅)에는 대사헌 송환기(宋煥箕)가 임명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예조에서 정한 응행절목(應行節目)에는 원자와 사부의 접견시 의례 및 법도에 관한 규정이 실려 있다. 한편, 원자가 세자로 책봉된 1800년 이후에도 슬롯 꽁 머니청의 활동은 계속되어 1800년 정월의 일기에는 ≪맹자≫를 강론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슬롯 꽁 머니청에 소속된 관료는 사부 1인, 서리 1인, 유선(諭善) 4인, 좌유선(左諭善) 2인, 우유선(右諭善) 2인, 요속(僚屬) 28인이었다. 고종 때의 ≪슬롯 꽁 머니청일기≫는 완화군(完和君)의 슬롯 꽁 머니시에 관련된 내용으로, 1876년부터 1879년 사이의 기록이다. 그 성격은 현종 및 정조 때의 일기와 대동소이하다.

슬롯 꽁 머니청을 설치한 이유는 왕권 교체기에 어린 원자를 보필하여 정국을 안정시키고자 한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당시 집권세력의 지속적인 주도권 장악을 위한 정책으로도 평가된다. 그리고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서연(書筵)·경연(經筵) 등과 함께 왕실의 교육활동과 그 제도를 알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朝鮮朝의 王世子敎育制度에 관한 一硏究」(金鍾律,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81)
『成宗朝의 經筵』(權延雄, 國際文化財團,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슬롯 꽁 머니,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슬롯 꽁 머니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꽁 머니]'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슬롯 꽁 머니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