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담중 동물 우화,치우담에 속하며, ‘묘두현령(猫頭懸鈴)’ 또는 ‘묘항현령(猫項懸鈴)’이라고도 부른다.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라는 속담의 유래담이기도 하다. 이 설화는 송세림이 편찬한『어면순(禦眠楯)』에 「영묘승마(鈴猫乘馬)」,홍만종이 편찬한『순오지(旬五志)』에 「묘항현령」이라는 제목으로 전해진다.
쥐가 슬롯 꽁 머니에게 자주 잡히자 견디다 못한 쥐떼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서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논의하였다. 쥐들은 서로 지혜를 짜내어 슬롯 꽁 머니가 오는 것을 미리 알아내는 방법을 궁리하였으나, 크게 신통한 의견은 없었다.
그때 새앙쥐 한 마리가 나서더니 그 묘안은 슬롯 꽁 머니 목에다 방울을 달아 놓으면 슬롯 꽁 머니가 움직일 때마다 방울 소리가 날 것이므로, 쥐가 슬롯 꽁 머니를 미리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 쥐들은 모두 좋은 생각이라고 감탄하고 기뻐하였다. 그때 한 구석에 앉아 있던 늙은 쥐가 “누가 슬롯 꽁 머니에게 가서 그 목에다 방울을 달 것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방울을 달겠다고 나서는 쥐가 없었다.
『순오지』에는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의 대체적인 줄거리와 함께 ‘묘항현령’이라는 말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설화는 아무리 뛰어난 생각이라도 실제로 실행할 수 없으면 헛된 공론에 지나지 않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는 아르네-톰슨의 AT110 유형에 속하며, 우리나라, 그리스, 인도, 몽골 등 넓은 지역에 걸쳐 전승되고 있다. 이 유형의 가장 오래된 자료인 고대 그리스 우화집 『이솝이야기』에 실린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Belling the cat)」와 서사적 합치점이 많은 우리나라의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는 1530년 전후의 『어면순』, 1678년의 『순오지』 기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록이 상당히 오래된 설화이다. 그리고 근대 이후 교과서나 신문, 잡지, 기타 문헌을 통해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졌는데 그에 비해 구전 채록 자료는 좀처럼 찾기 어렵는 점에서 이 이야기의 외래적인 수용 시기 및 경과에 대한 더 자세한 검토가 필요하다.
「슬롯 꽁 머니 목에 방울 달기」는 비교 문학적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크며 무엇보다 속담의 근원을 밝히는 설화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