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슬롯 꽁 머니기의 출토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여산면 남원사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동슬롯 꽁 머니기와 녹유리슬롯 꽁 머니병, 그리고 슬롯 꽁 머니 4점이 남아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유물로 추정된다.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슬롯 꽁 머니 외함은 방형(方形)이거나 건축의 형태를 지닌 전각형(殿閣形)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이 금동슬롯 꽁 머니기는 여러 특징이 혼재된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랫부분에는 불상의 대좌와 비슷한 단판복련(單瓣覆蓮)의 팔각 연화대가 있고, 그 위에 연화좌(蓮花座) 형태의 꽃술 받침을 하고 방형의 슬롯 꽁 머니함을 올려 놓았다. 슬롯 꽁 머니함의 네 면에는 여래 좌상을 배치하고 투각 기법으로 당초문을 장식하였다. 뚜껑의 테두리에는 장식물이 부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고 전체적으로 선각과 어자문 기법으로 문양을 장식하였다. 슬롯 꽁 머니함의 형태와 장식된 문양 및 기법 등에서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출토 슬롯 꽁 머니장엄구를 떠올리게 한다.
두 유물은 대체로 유사한 모습이지만 뚜껑에 덧붙인 장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가운데 부분에 큰 앙련(仰蓮)을 올리고 그 위로 솟은 찰주(擦柱: 불탑 꼭대기의 장식물을 지탱하는 기둥)에 이중의 보개(寶蓋)를 안치한 것이다. 한편 슬롯 꽁 머니함을 받치고 있는 활짝 핀 앙련에서 사방으로 줄기가 뻗어 연꽃이 피어나는 것과 같은 형상을 표현하였다. 그 위에 있는 연화좌에는 무기를 들고 앉아 있는 신장(神將)이 등장하는데, 각각 따로 만들어 끼운 것이다. 신장상은 슬롯 꽁 머니함에 모신 불슬롯 꽁 머니(佛舍利)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천왕(四天王)이나 팔부중(八部衆)이 호법신으로 슬롯 꽁 머니장엄구의 외면에 표현된 예는 있지만 이 금동슬롯 꽁 머니기의 경우처럼 특별한 구조를 갖춘 예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슬롯 꽁 머니기는 청동에 도금하였으며, 일부 변색되었지만 비교적 금빛이 잘 남아 있다. 선각, 투각, 어자문, 리베팅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고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우수한 세공 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통일신라 슬롯 꽁 머니장엄구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창의적인 외형과 장식이 돋보여, 미술사적 가치가 높은 유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