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대(李柱大, 1689~1755)의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이극(爾極), 호는 명암(冥菴)바카라사이트 추천. 그는 벽진장군(碧珍將軍)이총언(李悤言)을 시조로 하고, 진사 이인손(李麟孫)을 칠곡 입향조로 하는 벽진이씨의 후손으로 경상도 성주(星州) 팔거현(八莒縣) 석전리[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石田里)]에서 7형제 중 막내로 태어나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형님에게 양육되었다. 덕봉(德峰) 이해발(李海潑)의 아들이며, 낙저(洛渚) 이주천(李柱天)의 동생바카라사이트 추천. 어머니는 파평윤씨, 부인은 아주신씨바카라사이트 추천.
문장에 재질이 있어 14~15세에 어른들을 따라녹봉정사(鹿峰精舍)에서 경서의 뜻을 풀어 한 편의 글을 지었다. 천성이 방정하고 사려가 깊어 언행이 성현의 말씀과 도덕에 어긋나지 않으므로 백불암(百弗巖)최흥원(崔興遠)등이 크게 칭찬하였다. 1723년(경종 3) 식년시에 생원 2등으로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했다가, 벼슬길을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 교육에 힘썼다.
모헌(慕軒)강필신(姜必愼), 둔암(遁巖) 김양현(金良鉉), 기헌(奇軒) 강해(姜楷) 등과 학문으로 교유하였다.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배우려는 자들이 많이 찾아왔고, 제자 중에는 고암(古巖)이태우(李泰宇)처럼 대과 급제자도 있었다.
5권 2책. 석인본.
저자는 저술을 일삼아 하지는 않았으나 시문이 상자 속에 보관되어 있었다. 이를주1이경록(李經祿, 17361804) 등이 정사(精寫: 정성스레 베낌)바카라사이트 추천 약간의 권으로 성책바카라사이트 추천주2에 보관해 왔다. 그 후 6세손 이만희(李萬熙)가 간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7세손 이주후(李周厚)가 저자의 아름다운 명성이 점점 민멸되는 것을 걱정바카라사이트 추천 조각조각 흩어진 것을 수습바카라사이트 추천 간행하고자 최흥원의 후손인 최종응(崔鍾應, 18711944)에게 발문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바로 간행하지 못하고 1954년경에 최종응의 발문과 자신이 지은 발문을 부쳐 석인본으로 간행하였다.
5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시(詩) 65수,서(書)18편, 문목(問目),책(策)1편,서(序)2편 등이 바카라사이트 추천. 시는주3및 차운시(次韻詩)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서(書)에는 상례(喪禮)의 가지가지 조목에 대해 질문한 「상외구퇴간신공문목(上外舅退澗申公問目)」을 비롯바카라사이트 추천 정희신(丁喜愼)·최광원(崔光遠)·이상정(李象靖)·김경헌(金景瀗)·신유한(申維翰)등에게 학문을 토론, 질의한 편지가 많다.
책은 그가 한성별시에서 답안으로 작성한 것으로『맹자』의 ‘야기(夜氣)’에 대바카라사이트 추천 논한 것이며,명(銘)에는 함축성이 풍부한 문체로 쓰여진 「토로(土爐)」·「장(杖)」 등이 실려 있다.
권2는기(記)· 발(跋)· 명(銘)각 2편, 잡저 9편 등바카라사이트 추천.잡저(雜著)에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바카라사이트 추천 예리한 비평을 가한 「굴원지과과어충론(屈原之過過於忠論)」·「개지추모자해은이사론(介之推母子偕隱而死論)」·「요전순전설(堯典舜典說)」·「변안자삼십이이졸(辨顔子三十二而卒)」 등이 있는데, 그의 학문적 조예와 인품을 보여주는 글들이다. 「유금오산록(遊金烏山錄)」·「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 등은 장편의 기행문들이다.
권3은상량문(上樑文)1편,제문(祭文)14편, 묘지명 3편 등바카라사이트 추천.
권4는 유사 2편,행장(行狀)4편 등바카라사이트 추천.
권5는 부록으로 그에 대한만사(輓詞)· 제문(祭文)과 주4이희정(李熙鼎)이 지은 문견록(聞見錄), 종손 이경록이 지은 저자의 행장, 정종호(鄭宗鎬, 1875~1954)가 지은 묘갈명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1939년에 지은 최종응이 지은발(跋)과 1954년에 이주후가 지은 발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바카라사이트 추천국학진흥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