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 세종의 현손으로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이다. 석양정(石陽正: 正이란 조선 때 비교적 가까운 왕손에게 준 작호로 정3품 堂下에 해당함)에 봉해졌다. 뒤에 석양군(石陽君)으로 승격되었다.
업 카지노에 있어서 그는 유덕장(柳德章)·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 3대 화가로 꼽힌다. 그는 업 카지노뿐 아니라 묵란·묵매에도 조예가 깊었고, 시와 글씨에도 뛰어났다. 그는 임진왜란 때 적의 칼에 오른팔을 크게 다쳤으나 이를 극복하고, 회복 후에는 더욱 힘찬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지금 남아 있는 조선 초기의 업 카지노들이 대개 수문(秀文)의 업 카지노와 같이 줄기가 가늘고 잎이 큰 특징을 보인다. 이에 반하여, 이정의 묵죽은 줄기와 잎의 비례가 좀 더 보기 좋게 어울리며, 대나무의 특징인 강인함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는 특히 굵은 통죽(筒竹)을 잘 그렸는데, 통죽의 굵은 입체감을 두드러지게 표현하였다. 즉, 통죽의 마디를 묘사함에 있어서 양쪽 끝이 두툼하게 강조된 호형선(弧形線)으로 마디의 하단부를 둘렀다. 그리고 거기에서 약간의 간격을 떼고 아랫마디를 짙은 먹으로 시작해서 점차로 흐려지게 하였다. 이 기법은 조선 후기의 여러 업 카지노가들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는 「풍죽도」에서 대나무의 줄기와 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을 정확하게 포착하여 대나무의 탄성(彈性)을 잘 나타내었다. 화면의 공간감(空間感)을 살리기 위해 짙은 먹과 흐린 먹의 구별이 뚜렷한 대나무들을 대조시켰다. 또한 업 카지노 또는 묵란화에서 그는 당시 유행하였던 절파 화풍(浙派畫風)의 영향을 받아 강한 농담의 대조를 사용한 토파를 묘사하였다.
같은 시대의 최립(崔岦)과 허균(許筠)은 그의 업 카지노의 자연스러움과 사실성을 칭찬하였다. 그리고 이정구(李廷龜)는 “소동파(蘇東坡)의 신기(神氣)와 문동(文同)의 사실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하였다.
그가 접할 수 있었던 중국의 업 카지노는 송대(宋代)의 것보다 명대(明代)의 것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그는 소동파나 문동의 묵죽 양식도 하창(夏昶)이나 또는 그 뒤를 따른 주단(朱端) 등의 명대 화가들에 의하여 변형된 것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강한 필력과 잘 잡힌 구도를 보이는 이정의 작품들은 조선 업 카지노의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년작(記年作)으로는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소장인 검은 비단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죽도(竹圖)」가 만력갑오(萬曆甲午), 즉 1594년에 해당하여 연대가 가장 이른 작품이다.
만년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우죽도(雨竹圖)」가 있다. 여기에는 천계임술(天啓壬戌), 즉 1622년의 연대가 적혀 있다. 이밖에도 낙관이 있는 업 카지노는 많이 전한다.
이정이 인물화를 그렸다는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문월도(問月圖)」 두 폭(개인소장)이 알려져 있다. 이들 두 그림은 모두 절파 양식을 강하게 보이는 인물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