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 시기가 명확하지 않은 원구형 석조 부도 1기로, 1999년 11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바카라 꽁 머니재(현, 유형바카라 꽁 머니유산)로 지정되었다. 백련사는 고려시대 원묘국사가 백련결사를 일으킨 역사적 전통이 있는 사찰이며, 또한 고려시대 8대국사를 배출한 학풍과 종풍이 동시에 깃든 사찰이다.
사리의 주인공에 대해서 알려지지 않고 있어 자세한 건립경위는 알 수 없으나, 백련사가 고려시대 학풍과 종풍이 동시에 깃든 유서 깊은 사찰임을 미루어볼 때 백련사에서 주석했던 어느 고승의 입적 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부도는 네모난 기단 위로 원구형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며, 전체 높이는 293㎝, 기단 높이 111㎝, 탑신 높이 72㎝, 옥개석 높이 110㎝, 탑신 너비 79㎝이다. 여러 개의 장대석으로 부도 주변을 구획하고 그 중앙에 3단의 기단부를 올렸다. 기단부 구성은 4각형의 돌을 3단을 겹치게 하였는데, 기단 하대석은 사각형으로, 각 면에 아무런 조식이 없다. 기단 중석은 각 면을 2구로 구획하여 미미한 안상을 새기고 중앙은 탱주 대신 큰 연주문 3개와 그 사이에 아주 작은 구슬장식 2개씩을 끼웠다. 중석 상면에는 16엽의 복련과 미세한 연주문으로 사방을 엷게 조식하였다. 기단 상대석 역시 정사각형으로, 각 면을 2구로 나누고 중앙에 우주를 모각한 후 그 양편에는 아주 엷은 안상을 나타냈다. 탑신은 원구형이며 상단쪽 사방으로 연꽃무늬를 둔 구슬띠[連珠文]를 새겨 놓은 특이한 기법을 표출하고 있다. 옥개석은 8각인데 낙수면이 급경사하며 우동마루가 뚜렷하나 귀꽃이 없어 밋밋하게 처리하였다. 상륜부는 1석으로 연결하였는데, 노반ㆍ복발ㆍ앙화ㆍ보주 등이 형식적이나마 표출되었다.
이 부도는 백련사에서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양식적으로도 특이한 기법을 보이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많은 국가유산으로서 경내에 잘 보존되어 있다.
이 부도는 전통적으로 내려온 8각원당형에서 변형된 양식을 나타내고 있는데, 8각의 옥개석 외에는 모두 8각이 아니라는 점, 방형의 기단부와 원형에 가까운 원구형이 그 예이다. 특히, 탑신이 원구형이고 상단쪽 사방으로 연꽃무늬를 둔 구슬띠[連珠文]를 새겨 놓은 특이한 기법을 표출하고 있어 우리나라 부도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