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1월 16일부터 1월 24일까지 『동아일보』에 총 7회 연재되었고, 1938년에 청색지사(靑色紙社)에서 간행된 평론집 『탠 카지노문학(批評文學)』에 수록돼 있다. 「전통과 기교문제」에서는 조선문학에서 ‘전통’이 결핍돼 있어, ‘기교’가 없고, 따라서 ‘예(藝)’에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 ‘예’를 구현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조선의 작가는 조선어에 대한 풍요로운 탐구에 매진해야함을 강조한다. 김문집의 논의를 정리하면, 조선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조선적 언어의 미를 풍요롭게 탐구하는 것이며, 그럴 때 조선문학에서 결핍된 ‘전통’을 훌륭히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평론은 김환태와 더불어 인상주의 탠 카지노, 예술주의 탠 카지노, 창조주의 탠 카지노 등으로 김문집의 탠 카지노 성격을 특징짓는 데 바탕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탠 카지노사적 의의를 갖는다. 이 평론이 발표되던 시기인 1930년대는 이른바 전형기(轉形期)의 탠 카지노으로, 카프(KAPF)의 정치편향주의적 탠 카지노 이후 대두된 모더니즘 탠 카지노, 휴머니즘론, 예술주의 탠 카지노의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즉, 김문집의 탠 카지노은 카프의 탠 카지노에 대한 명확한 대타의식을 뚜렷이 하였다. 특히 조선의 언어에 대한 탠 카지노적 관심은 김문집의 예술탠 카지노의 근간을 이루는 매우 중요한 문제의식이다. 이것은 조선문학을 평가하는 탠 카지노의 척도로서 작용한다. 그래서 김문집은 강원도 지역의 정서를 풍요롭게 구사하고 있는 김유정의 문학에 각별한 탠 카지노적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그의 탠 카지노은 ‘탠 카지노예술론’으로 이어진다. 작품을 탠 카지노하는 데에는 일체의 이데올로기적 요소와 무관한 언어 예술로 이뤄진 작품의 미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것을 예술로서의 탠 카지노으로 표현하는, 탠 카지노의 창조적 예술성을 주창했다. 김문집은 당시『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활동한 최재서와 탠 카지노적 경쟁을 하면서 1930년대 전형기 탠 카지노의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