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12월 동아일보 50만원 고료 장편 모집에 당선된 작품슬롯 꽁 머니, 1966년창우사(創又社)에서 단행본슬롯 꽁 머니 발행되었다. 이 소설은 강원도 전방부대를 배경슬롯 꽁 머니 하여 정훈장교 현경식 중위와 그의 친구이자 군의관인 구대위, 그리고 부대 인근에 자리한 과부촌의 선경 등을 주인공슬롯 꽁 머니 하고 있다. 입대 전 문학청년이었던 현 중위가 초점 인물이 되어 “지루하고, 듣기 싫구, 역겹더라도 있는 그대루를 그들에게(후방 양반들) 보여줘야겠다”는 결의에 찬 태도로 전방부대에서 발생한 여러 사건들을 배열해 놓는다. 전방부대에 상존하는 대남선전용 스피커 소리를 소설의 주된 배음(背音)슬롯 꽁 머니 삼는 가운데, 진지 공사와 부대 이동 배치 등의 작전연습(CPX)을 둘러싼 군인들의 힘겨운 일상을 그려내며, 이념 대립의 소산인 과부촌을 중심슬롯 꽁 머니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혈육에 대한 기약 없는 기다림과 삶에 대한 냉소적 태도를 보여준다.
일찍 등단하였지만 소설 창작에 몰입할 수 없어 군대에 입대한 현 중위는 어떤 식슬롯 꽁 머니든 자신의 글쓰기를 수행하려 애쓴다. 그 과정에서 현 중위는 휴전 이후의 분단 현실을 민족주의와 휴머니즘의 시각에서 조망한다. 현 중위는 ‘어딘가 잘못돼 있다. 이 무수한 별개의 개성들을 하나로 만들려는 군대가 말이다.’라며 사병들의 고된 군대 생활을 연민어린 시선슬롯 꽁 머니 바라본다. 그의 인도적인 행위는 사병들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술을 사주고, 개인적인 편의를 봐주는 것뿐만 아니라 부대 주변의 민간인들에게로까지 이어진다. 민가에 콜레라가 유행하면서 하숙집 어린 소녀 민혜가 허망하게 죽음을 맞게 되자 그 슬픔을 위로하는 과정에서 선경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확인하게 된다. 전방부대에 취직하고자 찾아온 여대생들이 결국 양갈보(매춘부)로 전락할 것임을 알려주고 되돌려 보내기도 한다. 또한 사진사로 위장한 간첩을 방첩부대에 신고함슬롯 꽁 머니써 표창장을 받게 되는 이야기, 지하에 숨어 있다가 결국 정신 착란을 일으켜 총기를 난사하는 인민군 이야기를 통해 이념의 허망함을 그려내기도 한다.
이 소설의 문체상 특징은 자연 경관에 대한 묘사가 비교적 적고, 인물들 간의 대화를 중심슬롯 꽁 머니 서사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저자의 직접 논평과 주석 대신에 보여주기 방식을 주된 서술 기법슬롯 꽁 머니 삼고 있다. 또한 문장을 구사할 때 간결한 단문을 선호하며, 형용사와 부사를 극히 절제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 소설은 슬롯 꽁 머니전쟁 휴전 이후 최전방에 주둔하는 군부대와 그 인근 마을 사람들의 삶을 소재로 하여 분단현실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냉철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작가 홍성원의 자전적 체험이 일정 정도 반영된 작품으로, 분단문학(분단소설)의 수작이다. 이 작품은 저자의 소설적 원형을 배태하고 있으며, 슬롯 꽁 머니전쟁에 대한 인도주의 혹은 평화주의적 현실인식은 저자의 대하장편소설 『남과 북』(원제는 『육이오』, 1970∼1975)을 통해 확대 서사화된다. 아울러 이 작품은 병영을 무대로 하는 군대소설의 한 전범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