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사 묘법연화경 권파라오 슬롯;7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43년(세종 25) 전라도 고산(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불명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1456년(세조 2) 이후 찍어 만든 불교 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묘법연화경해, 묘법연화경요해, 묘법연화경계환해, 법화경계환해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43년
편저자
계환(戒環)
권책수
4권 1책
권수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판본
목판본
표제
법화경하(法華经下)
소장처
백운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시도유형파라오 슬롯유산(2013년 10월 23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길 315(반송동) 백운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파라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파라오 슬롯 요약

백운사 묘법연화경 권4~7(白雲寺 妙法蓮華經 卷四~七)은 1443년(세종 25) 전라도 고산(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불명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1456년(세조 2) 이후 찍어 만든 불교 경전이다. 이 불경은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문파라오 슬롯 번역한 『묘법연화경』을 계환(戒環)이 주해를 붙여 지은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이다. 1443년 전라도 고산(高山) 불명산(佛明山) 화암사(花巖寺)에서 개판한 목판을 1456년 음력 6월 이후 찍어 만든 인출본(印出本)이다.

정의
1443년(세종 25) 전라도 고산(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불명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1456년(세조 2) 이후 찍어 만든 불교 경전.
저자 및 편자

송나라 온릉(溫陵) 개원련사(開元蓮寺)의 승려 계환(戒環)이주1, 저술하였다.

서지사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백운사(白雲寺) 소장의『묘법연화경』4권 1책은 전체 7권 가운데 권4∼7의주2이며, 누른색 계열의 표지에 다섯 구멍을 뚫고 붉은색 계열의 실로 꿰맨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의주3이다.

표지 · 철사 및 표지 제목은 후대 수리 ·주4되었다. 전체 크기는 가로 16.5㎝×세로 27.2㎝이며, 본문 파라오 슬롯을 두른 테두리 안쪽의 반곽(半郭) 규격이 가로 13.4㎝×세로 20.8㎝이다. 앞표지에는 닥종이에 “법화경하(法華经下)”라주5주6이 후대 수리 · 보완되었다.

판식(版式)은 본문 밖의 네 부분이 한 줄의 검은 선파라오 슬롯 표시된 사주단변(四周團邊)이며, 개별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없는 무계(無界)이다. 개별 장을 가운데로 접는주7의 형태이다. 판심에는 물고기 꼬리 모양파라오 슬롯 장식한 어미가 없는 무어미(無魚尾) 형태이며,주8가 파라오 슬롯. 특정의 개별 장을 가운데로 접은 반곽의 행자 수는 10행 20자이다.

변상도(變相圖)의 제목은 “묘법연화경 변상(妙法蓮華経變相)”이다. 권수제(卷首題) · 권미제(卷尾題)와 그 아래에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및 “권제사(卷苐四)”의 권(卷) · 제(第) · 권차(卷次)가 각각 있으며, 권7의 권미제는 ‘제(苐)’ 자가 ‘제(第)’ 자로 표기되어 파라오 슬롯.

권수제 다음 행의 주해 정보는 “온릉개원련사비구 계환 해(溫陵開元蓮寺比丘 戒環 觧)”이다. 판심에는 작은 글자로 “법(法)”의 판심제와 함께 “사(四) 일(一)”의 권차 ·주9가 표기되어 파라오 슬롯.

권4 · 5 · 7의 권미제 다음에는주10이 각각 표기되어 파라오 슬롯. 권7의 시주질 다음 장에는성달생(成達生)주11이 찍혀 있으며, 발문 가운데는 “창녕성달생(昌寕成達生)”이라는 부분이 인출(印出) 과정에서 의도적파라오 슬롯 제외되어 있다. 그리고 성달생의 발문 다음에는 해당 목판의 간행 조직과 함께 간행 정보가 배열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법화사상(法華思想)을 담고 있는 『묘법연화경』은천태종의 근본 경전파라오 슬롯,바카라 대출 디시B300;바카라 대출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지속적파라오 슬롯 조성 · 유통된 대표적인 불교 기록유산이다. 『묘법연화경』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최소 160여 종류가 조성 · 유통되었다.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은 구자국(龜玆國) 출신파라오 슬롯 후진(後秦)에서 활동한주12이 한역(漢譯)한 『묘법연화경』을 송나라주13의 승려 지식인 계환이 주해 · 저술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로, 1443년(세종25)경 전라도 고산(高山: 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불명산의화암사파라오 슬롯주14한 목판을 1456년(세조 2) 음력 6월 이후 찍어 만든 인출본이다.

해당 목판은 성달생(成達生)이 쓴 판하본을 1443년(세종 25) 음력 5월경 화암사파라오 슬롯 개판하였으며, 조성 불사는효령대군(孝寕大君) · 월산대군(月山大君)등의 종실과 함께 관료 · 승려 등이 세종의 장수와태종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면서주15 · 시주(施主)하였다.

해당 목판의주16대선사(大禪師)사안(思安) 등이, 목판을 새긴주17선사(禪師)신효(信孝) · 해남(海南) · 법징(法澄) · 신계(信戒) 및 대선사 달공(達空) · 자신(慈信) · 월암(月菴)이, 시주를 권유하는주18는 의명(義明) · 홍우(洪祐) · 의은(義誾) · 일봉(日峯) · 의호(義浩) · 성료(性了) · 상안(尙安)이, 대화주(大化主)는 혜신(恵信)이, 교정(校正)은비구(比丘)상은(尙誾)이 각각 분담하였다.

특히 해당 인출본은 발문 가운데 마지막 부분의 “창녕성달생”이라는 내용이 인출 과정에서 의도적파라오 슬롯 제외되어 있으므로, 성달생의 아들성승(成勝)과 손자성삼문(成三問)단종의 복위(復位) 정변(政變)을 주도하였다가 제거된 1456년(세조2) 음력 6월 이후 찍어 만들었다고 할 수 파라오 슬롯.

구성과 내용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 4권 1책은 전체 7권 가운데 권4∼7의 영본이며, 표지 · 앞면 안에 변상도― 권수제― 주해 정보― 분과품 제목― 본문 파라오 슬롯― 권미제― 시주질 · 발문 · 간행 정보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변상도의 첫 부분에는 변상 제목과 함께주19주20이 위치하며, 이어 앞 · 뒷면에는 석가설법도(釋迦說法圖)가 배열되어 파라오 슬롯.

권4의 권미제 다음에는 선사해의(禅師海義) · 성린(性厸) 및 박천양주(朴天兩主) 등의 시주질이, 권5의 권미제 다음에는 선종대선사성환(禅宗大禅師省还) · 전용계사대덕신철(前龍雞寺大徳信哲) · 최중인(崔仲仁) · 한필(韓弼) 등 48명의 시주질이, 권7의 권미제 다음에는 밀양박씨일문(宻陽朴氏一門) · 임씨일문(任氏一門) 및 대선사신민(大禅師信敏) · 해연(海延) 등의 시주질이 각각 표기되어 파라오 슬롯.

그리고 권7의 시주질 다음 장부터는 “세재무신정모상거려기유춘도인해운내방청사능엄간재수전광행법시(嵗在戊申丁母䘮居廬己酉春道人海云来訪請㕐楞嚴刋梓壽傳廣行法施)…… 우청사연경(又請㕐蓮経)…… 주상전하만세(主上殿下壽萬嵗) 태종대왕증불지선망부모생정찰자(太宗大王證佛智先兦父母生淨刹者) 정통팔년계해오월일숭록대부판중추원사(正統八年癸亥五月日崇禄大夫判中樞院事) 근발(謹䟦)” 등과 같이 해당 목판의주21을 쓴 시기 · 주체 · 경위와 함께 세종의 장수와 태종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발문이 찍혀 파라오 슬롯.

발문 가운데는 “창녕성달생” 부분이 인출 과정에서 의도적파라오 슬롯 제외되어 있다. 이러한 성달생의 발문 다음에는 효령대군 · 월산대군 ·함녕군(諴寕君)등의 종실, 경창부소윤이총(慶昌府少尹李惣) · 사정이맹인(司正李孟仁) · 녹사김유(禄司金裕) 등의 관료, 전백운사(前白雲寺) 신전(信田) · 설공(雪空) · 만행(万行) 등의 승려들과 함께 판수 · 각수 · 권화 · 대화주 · 교정의 간행 조직이 표기되어 있으며, “전라도고산지불명산화암사개판(全羅道高山地佛明山花岩寺開板)”이라는 간행정보로 마무리되어 파라오 슬롯.

아울러 효령대군 · 월산대군의 아래 빈 공간에는주22형태와 유사한 문양이 양각되어 있기도 하다.

의의 및 평가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은 전체 7권 가운데 권1∼3이 빠져 파라오 슬롯. 그러면서 시주질 · 간행 조직 · 간행정 보가 비교적 풍부하게 남아 있으므로, 조선 세종 때 불교 기록유산의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

성달생의 글자 형태 및 정치적인 변화 과정과 함께 해당 목판의 조성 불사 당시 화암사의 출판 인쇄 실체 · 역량 및 조직체계를 비롯하여 불교 사상적 경향과 인적 연계망 등과 같은 역사 · 파라오 슬롯적인 실체를 진단할 수 있는 원천 자료이기도 하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백운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10월 23일 부산광역시 유형파라오 슬롯재(현, 유형파라오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주석
주1

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또는 그런 글파라오 슬롯말샘

주2

한 질을 이루는 여러 권의 책 중파라오 슬롯 빠진 권이 있음. 또는 그런 책파라오 슬롯말샘

주3

인쇄된 면이 밖파라오 슬롯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파라오 슬롯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파라오 슬롯말샘

주4

포장, 장식 따위를 고쳐 다시 꾸밈.파라오 슬롯말샘

주5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파라오 슬롯말샘

주6

표지에 직접 쓰지 아니하고 다른 종이 쪽지에 써서 앞표지에 붙인 외제(外題)파라오 슬롯말샘

주7

옛 책에서, 책장의 가운데를 접어서 양면파라오 슬롯 나눌 때에 그 접힌 가운데 부분파라오 슬롯말샘

주8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파라오 슬롯말샘

주9

책장의 차례파라오 슬롯말샘

주10

사찰판(寺刹版) 불경(佛經)의 간행을 위하여 시주한 사람의 명단. 책의 말미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주11

책의 끝에 본문 파라오 슬롯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파라오 슬롯말샘

주12

구자국(龜玆國) 출신의 불교 사상가이다. 구마라시바(鳩摩羅時婆), 구마라기바(拘摩羅耆婆), 줄여서 나습(羅什), 습(什), 의역하여 동수(童壽)라고도 한다. 중국 후진(後秦) 시대 장안(長安)에 와서 약 300권의 불교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게 유명하며, 그의 불경 번역은 불교 보급에 공헌했을 뿐 아니라 삼론종(三論宗) · 성실종(成実宗)의 기초가 되었다. 최초의 삼장법사(三藏法師)로 불리며, 훗날 현장(玄奘) 등 많은 삼장이 등장하였다. 쿠마라지바는 현장과 함께 2대 대역성(大訳聖)파라오 슬롯 불리며, 진제(真諦) · 불공금강(不空金剛)과 함께 4대 역경가(訳経家)로 꼽는다.

주13

중국 당나라 때 임제의 종지(宗旨)를 근본파라오 슬롯 하여 일어난 종파파라오 슬롯말샘

주14

출판물을 처음파라오 슬롯 찍어 냄. 주로 한적(漢籍)이나 고서(古書)의 출판을 이른다.파라오 슬롯말샘

주15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또는 그 소원파라오 슬롯말샘

주16

불교의 공양 의식인 식당작법(食堂作法)의 구성원

주17

각자(刻字)란 목판에 글자나 그림을 새기는 것을 말하며 서각(書刻)이라고도 한다. 각자를 하는 장인은 각자장(刻字匠) 또는 각수(刻手)라고도 하였다.

주18

불교를 믿지 아니하는 사람을 설득하여 불도에 들게 함.파라오 슬롯말샘

주19

불법을 지키는 신장(神將). 사천왕(四天王) 가운데 남방 증장천(增長天)의 여덟 신장의 하나이며, 삼십이천(三十二天)의 우두머리로 달음질을 잘한다고 한다.파라오 슬롯말샘

주20

종교나 신화적 주제를 표현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인물 또는 형상파라오 슬롯말샘

주21

목판본의 책판을 새길 때 판목에 뒤집어 붙여서 비춰 보이는 대로 새길 수 있도록 얇은 종이에 진한 먹파라오 슬롯 정서한 책

주22

연꽃의 열매. 식용하거나 약용한다.파라오 슬롯말샘

집필자
최영호(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파라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파라오 슬롯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파라오 슬롯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파라오 슬롯]'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파라오 슬롯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