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카라 전략 갱재축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물품
임금이 지은 시가에 신하들이 화답한 시들을 모아 권축(卷軸)으로 장정한 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 전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바카라 전략축(賡載軸)』은 임금이 지은 시가(詩歌)에 신하들이 화답한 바카라 전략시(賡載詩)들을 모아 필사 또는 간행한 책이다. 바카라 전략시는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은 노래에 신하 고요(皐陶)가 노래를 주고받은 바카라 전략가(賡載歌)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조(正祖)의 시에 신하들이 화답한 시들을 모아 필사본 또는 간인본으로 제작한 『바카라 전략축』이 다수 제작되어 현존본이 상당수 남아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임금이 지은 시가에 신하들이 화답한 시들을 모아 권축(卷軸)으로 장정한 책.
내용

『바카라 전략축(賡載軸)』은 ‘바카라 전략시축(賡載詩軸)’의 줄인 말로, 임금이 지은 시가(詩歌)에 신하들이 화답한 바카라 전략시(賡載詩)들을 모아 필사 또는 간행한 책을 말한다. 바카라 전략시는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은 노래에 신하 고요(皐陶)가 노래를 주고받은 바카라 전략가(賡載歌)에서 비롯되었다.

‘갱(賡)’은 ‘잇는다[續]’는 뜻이고 ‘재(載)’는 ‘완성한다[成]’는 뜻으로, 바카라 전략(賡載)는 서로 이어서 노래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카라 전략시는 타인이 지은 시의 원운(原韻)이나주1를 따라서 화답하는 시를 말하며, 주로 임금의 말이나 노래에 신하가 화답하는 것을 뜻한다. 바카라 전략시는『서경(書經)』우서(虞書)의 「익직(益稷)」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중국 고대의 순(舜) 임금이 “바카라 전략가 기쁘게 일하면 임금의 정치가 흥기되어 온갖 일이 확장될 것이다.”라고 하자, 바카라 전략인 고요(皐陶)가 “임금이 세세히 따지고 자질구레하면 바카라 전략들이 게을러져서 만사가 무너질 것입니다.”라고 하여 순임금과 고요가 서로 권면하며 주고 받은 노래가 그 시원을 이룬다.

조선시대에는 특히정조가 신하들과 바카라 전략시를 짓고 다수의 『바카라 전략축』을 제작한 것으로 유명한데, 그 내용은제182권 「바카라 전략축(賡載軸)」에 자세히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정조가 연사(燕射), 시예(試藝), 상화(賞花), 조어(釣魚)에서부터 경사가 있을 때나 출행 중에 잠시 머물러 쉴 때에도 시를 짓고 신하들에게 화답하게 하여 다수의 『바카라 전략축』을 만들었다. 1796년(정조 20)에는 정조와 신하들이 지어 만든 그동안의 『바카라 전략축』을 연도순으로 편집하고정리자(整理字)로 인쇄하여 『바카라 전략축』이란 책명으로 반포하였는데 그 서목(書目)이 48권이나 될 정도로 방대했다. 그 내용은 1781년(정조 5)에 정조가 신하들과 함께 폭포를 구경하고 소요정(逍遙亭)에서 거문고 연주를 들으면서 벽에 새겨진 시에 차운(次韻)하고 화답한 『소요정바카라 전략축(逍遙亭賡載軸)』으로부터 1800년(정조 24)에 정조가 북원(北苑)에서 하룻밤 묵을 때 『후산집(后山集)』에서 뽑은 시에 차운하고 화답한 『북원재일바카라 전략축(北苑齋日賡載軸)』 등 다양한 일시와 장소 및 참석 인원이 함께 표기되어 있어 『바카라 전략축』을 작성할 당시의 배경과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주석
주1

제목의 뜻.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 전략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바카라 전략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바카라 전략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바카라 전략]'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