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4년(명종24) 아버지가 반역한다는 대정(隊正) 이금대(李金大)의 무고로 형정윤당(鄭允當)과 함께 유배되었다.
그 뒤 풀려나 1204년(신종7)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로서 승도(僧徒) 등이최충헌(崔忠獻)을 암살하려고 하자수창궁(壽昌宮)에 들어가 이를 구원하였다. 1206년(희종2)좌승선(左承宣)으로 있을 때, 왕이 책명(冊命)을 받기 위해 정숙첨을 금사(金使)에게 보내 행례소(行禮所) 문제를 상의하였다. 1215년(고종2) 형 정진(鄭稹)과 함께 반역을 도모한다는 예부원외랑윤세유(尹世儒)의 모함을 받았으나 무고임이 밝혀졌다.
이듬해 거란유종(契丹遺種)의 금산왕자(金山王子)가 무리를 이끌고 침입하자,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행영중군원수(行營中軍元帥)가 되어 부원수조충(趙冲)과 함께 염주(鹽州: 황해도 연안) · 배주(白州: 황해도 배천)의 적을 공격하기 위메이저카지노사이트 흥의(興義) · 금교역(金郊驛) 사이에 진을 쳤다가 군중(軍中)이 놀라 달아나자 다시 국청사(國淸寺)로 옮겼다.
1217년 최충헌 모살사건에 연루되어 원수직에서 파면되고 하동에 유배되었다. 이는 정숙첨이 군중에서 최충헌이 왕실을 쇠잔하게 하고 적을 불러들였다고 비방한 것에서 빌미가 된 것인데, 이로 인해 최충헌이 죽이려 하였으나 최우가 힘써 구해주었다. 최충헌이 사망한 후 최우가 집권메이저카지노사이트 최충헌의 실정을 극복한다는 명분으로 최충헌세력을 제거할 때에도 정숙첨은 살아 남았는데 이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밖에 정숙첨은 원수가 된 뒤로 군사들로부터 뇌물을 많이 받아 재산을 축적메이저카지노사이트 군사들의 불평이 잦았다. 뒤에평장사에 올랐다.